2024년 AFC U-17 여자 아시안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4년 AFC U-17 여자 아시안컵은 인도네시아에서 개최된 U-17 여자 축구 대회로, 2023년 4월부터 예선이 진행되어 총 8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에는 개최국 인도네시아를 포함하여, 2019년 AFC U-16 여자 선수권 대회 상위 3개 팀(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과 예선을 통과한 대한민국, 태국,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이 참가했다. 대회는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로 진행되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일본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3위는 대한민국이 차지했으며, 이로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대한민국이 2024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진출권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4년 청소년 축구 - 2024년 AFC U-23 아시안컵
2024년 AFC U-23 아시안컵은 카타르에서 개최된 23세 이하 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로, 일본이 우승, 우즈베키스탄이 준우승, 이라크가 3위를 차지했으며, 세 팀은 2024년 파리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 2024년 청소년 축구 - 2024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2024년 FIFA U-17 여자 월드컵은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을 차지한 17세 이하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 2024년 여자 축구 - 2024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2024년 FIFA U-17 여자 월드컵은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을 차지한 17세 이하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 2024년 여자 축구 - 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2024년 프랑스 하계 올림픽 여자 축구는 12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경쟁을 펼친 결과, 미국이 브라질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AFC U-17 여자 아시안컵
AFC U-17 여자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의 17세 이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국제 대회로, FIFA U-17 여자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며 대한민국, 일본, 북한 등이 우승했고 2026년부터 매년 개최 및 참가팀 확대 예정이다. -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2005년 AFC U-17 여자 챔피언십
2005년 AFC U-17 여자 챔피언십은 대한민국 남해군에서 개최되어 일본 U-17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우승을 차지했고, 대한민국 U-17 여자 대표팀은 4위를 기록했다.
2024년 AFC U-17 여자 아시안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AFC U-17 여자 아시안컵 |
다른 명칭 | Piala Asia Putri U-17 2024 (인도네시아어) AFC U17女子アジアカップ2024 (일본어) AFC U-17 여자 아시안컵 (한국어) |
![]() | |
개최국 | 인도네시아 |
개최 도시 | 기안야르 regency |
기간 | 2024년 5월 6일 – 2024년 5월 19일 |
참가 팀 수 | 8 |
연맹 수 | 1 |
경기장 수 | 2 (1개 개최 도시) |
경기 수 | 16 |
득점 수 | 74 |
결과 | |
우승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우승 횟수 | 4 |
준우승 | 일본 |
3위 | 대한민국 |
4위 | 중국 |
개인 수상 | |
최다 득점자 | 존일총 (6골) |
페어플레이상 | 일본 |
최우수 골키퍼 | 박주경 |
최우수 선수 | 신조 미하루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19 |
다음 대회 | 2025 |
2. 예선
2024년 AFC U-17 여자 아시안컵 본선 진출팀을 결정하기 위한 예선은 두 라운드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차 예선은 2023년 4월 22일부터 30일까지, 2차 예선(최종 예선)은 2023년 9월 16일부터 24일까지 열렸다. 총 29개 팀이 예선에 참가했다.[13]
개최국 인도네시아와 201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에서 상위 3위를 차지한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은 예선을 거치지 않고 본선에 자동으로 진출했다.
나머지 4장의 본선 진출권은 최종 예선을 통해 결정되었다. 대한민국은 최종 예선 A조 1위로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으며, 태국(최종 예선 A조 2위), 오스트레일리아(최종 예선 B조 1위), 필리핀(최종 예선 B조 2위)이 예선을 통과하여 본선에 합류했다.
2. 1. 본선 진출팀
총 8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팀 | 진출 자격 | 출전 횟수 | 역대 최고 성적 |
---|---|---|---|
인도네시아 | 개최국 | 2회 | 조별 리그 (2005) |
일본 | 2019 우승팀 | 9회 | 우승 (2005, 2011, 2013, 2019)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19 준우승팀 | 8회 | 우승 (2007, 2015, 2017) |
중국 | 2019 3위 | 9회 | 준우승 (2005) |
대한민국 | 2차 예선 A조 1위 | 9회 | 우승 (2009) |
태국 | 2차 예선 A조 2위 | 9회 | 3위 (2005) |
오스트레일리아 | 2차 예선 B조 1위 | 7회 | 4위 (2009, 2019) |
필리핀 | 2차 예선 B조 2위 | 1회 | 첫 출전 |
모든 경기는 인도네시아 발리주 기안야르군에 위치한 다음 두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2024년 AFC U-17 여자 아시안컵 본선 조 추첨은 2024년 3월 7일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위치한 아시아 축구 연맹(AFC) 본부에서 열렸다.[3] 참가팀의 시드는 201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본선 및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배정되었으며, 개최국 인도네시아는 자동으로 포트 1의 A1 자리에 배정되었다.[14][3]
2007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 사이에 태어난 선수들이 이 대회에 참가할 자격이 있다. 각 팀은 최소 18명에서 최대 23명의 선수 명단을 등록해야 하며, 이 중 최소 3명은 골키퍼여야 한다.[4][15]
8개 참가팀이 4팀씩 2개 조로 나뉘어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각 조의 상위 두 팀이 결선 토너먼트(준결승)에 진출한다.
3. 경기 장소
기안야르군 캡텐 I 와얀 딥타 스타디움 발리 유나이티드 트레이닝 센터 수용 인원: 18,000 수용 인원: 600
4. 시드 배정 및 조 추첨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인도네시아 (개최국)
일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태국
필리핀
5. 선수 명단
6. 조별 리그
모든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WITA, UTC+8)을 기준으로 한다.[5]
조별 리그 순위는 다음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결정된다(규정 제7.3조).[4][15]
# 승점: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을 부여한다.
# 승점이 같은 팀 간의 맞대결 승점.
# 승점이 같은 팀 간의 맞대결 골득실.
# 승점이 같은 팀 간의 맞대결 다득점.
# 만약 셋 이상의 팀이 승점 동률이고, 위 2~4번 기준을 적용한 후에도 여전히 순위가 동률인 팀들이 있다면, 해당 팀들만을 대상으로 다시 2~4번 기준을 적용하여 순위를 결정한다. 그래도 순위가 결정되지 않으면 다음 기준을 적용한다.
# 조별 리그 모든 경기에서의 골득실.
# 조별 리그 모든 경기에서의 다득점.
# 조별 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맞붙은 두 팀만 승점 및 위 모든 기준이 같을 경우, 승부차기로 순위를 결정한다.
# 페어플레이 점수: 점수가 낮은 팀이 우선순위를 가진다 (경고 1점, 경고 2회 누적 퇴장 3점, 직접 퇴장 3점, 경고 후 직접 퇴장 4점).
# 추첨.
6. 1. A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비고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3 | 0 | 0 | 22 | 0 | +22 | 9 | 결선 토너먼트 진출 |
대한민국 | 3 | 1 | 1 | 1 | 13 | 8 | +5 | 4 | 결선 토너먼트 진출 (필리핀에 상대전적 우위) |
필리핀 | 3 | 1 | 1 | 1 | 7 | 8 | -1 | 4 | 탈락 (대한민국에 상대전적 열세) |
인도네시아 (H) | 3 | 0 | 0 | 3 | 1 | 27 | -26 | 0 | 탈락 |
'''2024년 5월 6일'''
- 16: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7-0 대한민국 (발리 유나이티드 트레이닝 센터, 기안야르군)
- * 득점: 리국향 (41' PK), 호경 (45+2', 54'), 전일청 (47', 51', 89'), 최림종 (60')
- * 심판: 위홍 (중국)
- 19:00 인도네시아 1-6 필리핀 (Kapten I Wayan Dipta Stadium, 기안야르군)
- * 득점 (인도네시아): 쉐우네만 (12')
- * 득점 (필리핀): 피노 (6', 35'), 가이 (22'), 마키 (29'), 콜린스 (54', 62')
- * 심판: 수피리 테스톰야 (태국)
'''2024년 5월 9일'''
- 16:00 필리핀 0-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발리 유나이티드 트레이닝 센터, 기안야르군)
- * 득점: 전일청 (17', 27'), 강류미 (24'), 박일심 (31'), 최정금 (48'), 손조예 (90+3')
- * 심판: 스기노 아즈사 (일본)
- 19:00 대한민국 12-0 인도네시아 (Kapten I Wayan Dipta Stadium, 기안야르군)
- * 득점: 김효원 (13'), 한국희 (34'), 범예주 (39'), 박지유 (41'), 원주은 (45+1', 50', 61', 86'), 김예은 (59' PK), 백지은 (80', 82'), 서민정 (90+2')
- * 심판: 레베카 더코 (오스트레일리아)
'''2024년 5월 12일'''
- 16:00 인도네시아 0-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Kapten I Wayan Dipta Stadium, 기안야르군)
- * 득점: 최일손 (1', 10', 38', 40', 47'), 강류미 (11', 45+3'), 로은향 (14', 44')
- * 심판: 마흐사 고르바니 (이란)
- 16:00 대한민국 1-1 필리핀 (발리 유나이티드 트레이닝 센터, 기안야르군)
- * 득점 (대한민국): 범예주 (74')
- * 득점 (필리핀): 마키 (38')
- * 심판: 베로니카 베르나츠카이아 (키르기스스탄)
6. 2. B조
순위 | 팀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일본 | 3 | 3 | 0 | 0 | 12 | 1 | +11 | 9 | 토너먼트 스테이지 진출 |
2 | 중국 | 3 | 2 | 0 | 1 | 6 | 4 | +2 | 6 | 토너먼트 스테이지 진출 |
3 | 태국 | 3 | 1 | 0 | 2 | 3 | 8 | -5 | 3 | |
4 | 오스트레일리아 | 3 | 0 | 0 | 3 | 2 | 10 | -8 | 0 |
'''2024년 5월 7일'''
16:00 UTC+8
- - 중국 3 - 0 오스트레일리아 --
- 득점: 저우신이 (5분), 샤오자치 (63분), 장커찬 (77분)
- 장소: 발리 유나이티드 훈련 센터, 기안야르
- 관중: 118명
- 심판: 베로니카 베르나츠카야 (키르기스스탄)
- 경기 보고서: [https://www.the-afc.com/en/matches/afc-u17-womens-asian-cup/2024/2435722 리포트]
'''2024년 5월 7일'''
19:00 UTC+8
- - 일본 4 - 0 태국 --
- 득점: 신조 (51분), 사사키 (65분), 쓰다 (69분, 87분)
- 장소: 이 와얀 딥타 스타디움, 기안야르
- 관중: 1,142명
- 심판: 마흐사 고르바니 (이란)
- 경기 보고서: [https://www.the-afc.com/en/matches/afc-u17-womens-asian-cup/2024/2435725 리포트]
- ---
'''2024년 5월 10일'''
16:00 UTC+8
- - 태국 0 - 3 중국 --
- 득점: 쏭 위 (58분), 장커찬 (90분), 천 루이 (90+2분)
- 장소: 발리 유나이티드 훈련 센터, 기안야르
- 관중: 89명
- 심판: 두무 알 바카르 (레바논)
- 경기 보고서: [https://www.the-afc.com/en/matches/afc-u17-womens-asian-cup/2024/2435727 리포트]
'''2024년 5월 10일'''
19:00 UTC+8
- - 오스트레일리아 1 - 4 일본 --
- 득점: 도스 산토스 (90+6분, 페널티킥) / 사토 (3분, 10분), 신조 (65분), 히라카와 (80분)
- 장소: 이 와얀 딥타 스타디움, 기안야르
- 관중: 862명
- 심판: 양 수팅 (중화 타이베이)
- 경기 보고서: [https://www.the-afc.com/en/matches/afc-u17-womens-asian-cup/2024/2435729 리포트]
- ---
'''2024년 5월 13일'''
16:00 UTC+8
- - 일본 4 - 0 중국 --
- 득점: 후쿠시마 (9분), 키쿠치 (74분, 86분), 네즈 (90+5분)
- 장소: 이 와얀 딥타 스타디움, 기안야르
- 관중: 737명
- 심판: 차민지 (대한민국)
- 경기 보고서: [https://www.the-afc.com/en/matches/afc-u17-womens-asian-cup/2024/2435747 리포트]
'''2024년 5월 13일'''
16:00 UTC+8
- - 오스트레일리아 1 – 3 태국 --
- 득점: 펀치 (31분) / 쿠리사라 (38분), 리니야팟 (67분), 추티칸 (90+7분)
- 장소: 발리 유나이티드 훈련 센터, 기안야르
- 관중: 83명
- 심판: 부이 티 투 트랑 (베트남)
- 경기 보고서: [https://www.the-afc.com/en/matches/afc-u17-womens-asian-cup/2024/2435746 리포트]
7.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정규 시간(전후반 90분) 내에 승부가 나지 않을 경우 연장전 없이 바로 승부차기를 통해 다음 라운드 진출팀 또는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15] 모든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8) 기준이다.
라운드 | 날짜 | 시간 | 경기장 | 팀 1 | 결과 | 팀 2 |
---|---|---|---|---|---|---|
준결승 | 2024년 5월 16일 | 19:00 | 캅텐 I 와얀 딥타 스타디움, 기안야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0 | 중국 |
2024년 5월 16일 | 15:00 | 일본 | 3–0 | 대한민국 | ||
3위 결정전 | 2024년 5월 19일 | 15:00 | 중국 | 1–2 | 대한민국 | |
결승 | 2024년 5월 19일 | 19:0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0 | 일본 |